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랩실/IT 기술

[개발환경구축] 라즈비안에 젠킨스 설치

by sina.dev 2022. 2. 21.
728x90

목차


 

Jenkins(젠킨슨)이란

젠킨슨은 원래 허드슨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 허드슨의 개발은 2004년 여름에 썬마이크로즈시스템즈에서 시작되었다. 2005년 2월에 java.net에 처음 출시되었다.
 
소프트웨어 개발시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이다. CI 툴은 일정시간 마다 빌드를 실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특히 개발자들이 당일 작성한 소스들의 커밋이 모드 끝난 심야 시간대에 이러한 빌드가  타이머에 의해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를 nightly-build라 한다. 하지만 젠킨스는 정기적인 빌드에서 한발 나아가 서브버전, Git과 같은 버전관리시스템과 연동하여 소스의 커밋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자동화 테스트가 포함된 빌드가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CI의 특징

  1. 소스코드 일관성 유지 : 소스 관리 시스템이 필요함
  2. 자동 빌드 : 커밋에 따른 자동 빌드 or 시간 간격에 의한 빌드
  3. 자동 테스팅 : 빌드 과정에서 테스팅
  4. 일일 체크아웃과 빌드 : 소스의 무결성을 유지

라즈비안 젠킨스(Jenkins) 설치

  • 노션에 정리한 부분 첨부
  • 기존에 java와 tomcat, apache가 설치되어 있다.
  • 먼저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서 젠킨스를 설치한다.
 
  • tomcat 포트와 jenkins 의 초기설정 화면의 포트가 동일하다. 그래서 jenkins의 포트를 변경 후 재실행한다.
  • jenkins 설정 파일은 vim으로 연다.

 

 
  • 로컬에서 jenkins 초기설정 화면에 들어가려면 jenkins 설정 파일에서 설정한 포트를 방화벽에 허용해야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 젠킨스를 재실행 한다.


젠킨스 초기 설정

- 젠킨스 설치 후 관리 화면으로 들어갔을 때 첫 화면이다.

- 화면에서 일러주는 경로의 파일을 열어 초기 Administrator password를 입력한다.

- 초기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Instrall suggested plugins를 클릭한다. 해당 메뉴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찾아서 자동으로 설치를 해준다.

 

- 자동으로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 플러그인을 설치가 끝나면 젠킨스에 접속할 접속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계정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 접속정보를 입력 후 젠킨스에 접속할 URL 주소명을 입력한다. 입력하고, 화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 Save and Finish ]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한다.

 

 

 

 

'개발자 랩실 > IT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비안 웹 서버 환경 구축하기  (0) 2022.02.21
1. ubuntu20 설치 및 rabbitmq 설치  (0) 2022.01.28
MQTT 기초  (0) 2022.01.27

댓글